스타트업이 빙(Bing) 웹마스터 도구를 단계별로 활용하려면 다음 절차와 기능을 따라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-
사이트 등록 및 인증
- 먼저 빙 웹마스터 도구 홈페이지에 접속해 구글 서치콘솔 계정으로 로그인하거나 직접 사이트 URL을 입력해 등록합니다. 구글 서치콘솔에 이미 등록된 사이트가 있다면 데이터를 가져오기(import) 기능을 활용해 쉽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.
- 등록 후에는 HTML 메타 태그, XML 파일 업로드, DNS 레코드 추가 등 제공되는 방법 중 하나로 사이트 소유권을 인증합니다. 보통 HTML 메타 태그 방식이 많이 사용됩니다.
-
사이트맵 제출
- 사이트맵(XML)을 제출해 빙 검색엔진이 사이트 구조를 잘 파악하도록 돕습니다. 사이트맵 주소를 등록하면 크롤링 효율이 높아지고, 색인 등록이 빨라집니다.
-
SEO 상태 및 데이터 분석 확인
- 빙 웹마스터 도구는 클릭률(CTR), 인덱스된 페이지 수, 방문자 통계 등 다양한 데이터를 기간별 그래프로 제공합니다. 이를 통해 어떤 키워드가 유입에 효과적인지, 문제 페이지는 어디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.
- 백링크 분석, 키워드 조사, SEO 리포트(메타 태그 오류, 타이틀 길이 등), 사이트 스캔(기술적 SEO 문제 자동 검사) 기능을 활용해 사이트 상태를 점검하고 개선점을 찾습니다.
-
사이트 스캔 기능 활용
- 사이트 전체를 스캔해 SEO 문제를 한꺼번에 점검할 수 있습니다. 스캔 범위는 사이트 전체 또는 사이트맵으로 지정 가능하며, 한 달에 최대 1000개 페이지까지 검사할 수 있습니다. 스캔 완료 후 이메일로 결과를 받아볼 수 있어 편리합니다.
-
SEO 최적화 및 전략 수립
- 빙 웹마스터 도구는 구글보다 친절한 SEO 가이드와 상세한 분석을 제공하므로, 한국 시장 진출을 위한 검색 최적화 전략 수립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.
- 빙 검색 점유율은 한국에서 약 4% 내외이나, 야후 등과 제휴로 점유율 확대를 시도 중이므로 다양한 검색 채널 확보 차원에서 활용이 유리합니다.
-
정기적 모니터링 및 개선
- 주기적으로 빙 웹마스터 도구에 접속해 사이트 상태, 색인 현황, 크롤링 오류 등을 확인하고, 발견된 문제를 개선해 나갑니다.
이상은 스타트업이 빙 웹마스터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단계별 가이드입니다. 구글 서치콘솔과 연동하여 초기 등록과 인증을 간소화하고, 사이트맵 제출과 SEO 분석 도구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